로그인
회원가입
TRIP
K-POP
FOOD
HANSIK(Korea Food)
Restaurant
LIFE
MEDICAL
Medical Subject
Partership
COMMUNITY
HANSIK(KOREA FOOD)
검색
전체 6건 / 1 페이지
전체
Sangcharim
Bap
Juk
Myeon
Guk
Tang
Jjigae
Jjim
Bokkeum
Jorim
Sukchae
Saengchae
Jeongol
Jeok And Sanjeok
Gui
Jang
Jangajji
Jeon
Jeotgal
Hoe
Kimchi
Tteok
Hangwa
Eumcheongryu
굴국밥(Gulgukbap)
▶ 개요 굴국밥은 삶은 밥 위에 굴과 국물을 함께 부어 먹는 음식으로, 굴의 시원하고 고소한 맛이 돋보이는 **경상도 지역(특히 통영, 남해, 거제)**의 향토 음식이에요. 굴은 ‘바다의 우유’라 불릴 만큼 영양이 풍부해 겨울철 보양식으로 인기입니다. ▶ 주요 재료 굴 (깨끗이 손질한 생굴) 밥 멸치·다시마 육수 대파, 마늘, 두부, 달걀, 간장, 소금, 후추 선택 재료: 미역, 콩나물, 김가루, 고춧가루 ▶ 조리 방법 (기본) 육수 준비 — 멸치와 다시마로 국물을 내고, 마늘과 간장으로 간을 맞춥니다. 굴 넣기 — 깨끗이 씻은 굴을 넣고 살짝 끓여 비린내를 제거합니다. 밥 넣기 — 미리 지어둔 밥을 넣고 한소끔 끓입니다. 마무리 — 대파, 달걀, 김가루를 넣고 불을 끕니다. ▶ 맛의 특징 굴의 은은한 바다향과 고소함이 어우러진 맑고 깊은 국물 맛 밥알이 국물에 스며들어 부드럽고 따뜻한 식감 고춧가루를 약간 넣으면 칼칼하게, 계란을 풀면 부드럽게 즐길 수 있습니다. ▶ 효능 굴에는 단백질, 아연, 철분, 타우린이 풍부하여 피로 회복, 빈혈 예방,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다이어트나 영양 보충식으로도 적합합니다. ▶ 지역 및 유래 경상남도 통영과 거제 지역은 굴 양식의 본고장으로, 신선한 굴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 중에서도 굴국밥이 대표적인 겨울 메뉴로 자리 잡았습니다. 겨울철 포구 식당에서는 굴국밥, 굴무침, 굴전을 함께 내는 ‘굴 한상차림’으로도 유명합니다.
SoloGourmet
Bap
3일 전
13
곤드레나물밥 (Gondeurenamulbap)
곤드레나물밥은 한국의 전통 한식 중 하나로, 강원도 정선 지역을 중심으로 유명한 향토 음식이에요. ▶ 개요 곤드레나물밥은 **곤드레(고려엉겅퀴)**라는 산나물을 이용해 만든 나물밥 요리예요. 곤드레는 봄철 산에서 자생하는 나물로, 부드럽고 은은한 향이 특징이에요. 밥을 지을 때 곤드레나물을 넣고 함께 짓거나, 지은 밥 위에 곤드레를 얹어 양념간장과 함께 비벼 먹는 방식으로 즐깁니다. ▶ 주요 재료 곤드레나물 (삶아서 물기 제거한 것) 쌀, 참기름, 간장, 다진 마늘, 깨소금, 파 등 양념 ▶ 특징과 맛 고소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으로, 자극적이지 않아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습니다. 나물의 은은한 향과 밥의 윤기가 어우러져 깊은 맛을 냅니다. 별도의 반찬 없이도 한 그릇 식사로 충분하며, 된장찌개나 고추장과 곁들이면 더욱 풍성해집니다. ▶ 유래 곤드레는 예로부터 봄철 영양 보충용 나물로 먹어왔습니다. 특히 정선 곤드레나물밥은 지역 특산음식으로 자리 잡아, 정선 5일장이나 관광지 식당에서도 쉽게 맛볼 수 있습니다. ▶ 건강 효능 식이섬유가 풍부해 소화에 도움을 주고, 항산화 성분이 많아 피로 회복과 면역력 강화에 좋습니다. 지방이 거의 없어 다이어트 식단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SoloGourmet
Bap
3일 전
11
산채정식 (Wild Vegetable Dish Combo)
산채정식 (Wild Vegetable Dish Combo) ▶ 개요 산채정식은 산에서 자란 **각종 산나물(山菜)**을 주재료로 한 한국 전통 정식입니다. 이름 그대로 ‘산에서 나는 채소’라는 뜻으로, 화학조미료를 거의 쓰지 않고 자연의 향과 맛을 살린 건강식 한식 한상차림이에요. ▶ 기본 구성 산채정식은 계절에 따라 구성과 맛이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습니다. 구분 구성 예시 밥 흰쌀밥, 잡곡밥, 돌솥밥, 산나물비빔밥 등 국/탕 된장국, 미역국, 버섯국 등 메인 요리 불고기, 두부조림, 제육볶음, 버섯볶음 등 산채 반찬 고사리, 도라지, 취나물, 곤드레, 참나물, 시금치 등 나물무침 김치류 배추김치, 열무김치, 석박지 등 후식 식혜, 수정과, 계절 과일 등 ▶ 특징 자연 그대로의 맛 — 인공 조미료보다 참기름, 간장, 들기름, 소금 등으로 간을 해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립니다. 건강한 식단 — 섬유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다이어트, 혈압·혈당 조절, 장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계절별 풍미 — 봄에는 두릅, 취나물 / 여름에는 오이와 상추 / 가을에는 버섯류 / 겨울에는 말린 나물 등을 사용합니다. 자연 친화적 미학 — 전통 도자기 그릇에 정갈하게 담아내며, 보기에도 단정하고 편안한 인상을 줍니다. ▶ 지역별 특징 지리산·오대산·설악산 일대: 산나물 종류가 다양하고 간이 약한 편 안동·영주 지역: 간장양념이 짙고 구수한 풍미 제주 지역: 해초류와 산야초가 함께 나오는 특색 메뉴
SoloGourmet
Sangcharim
5일 전
11
한정식
한정식 (Hanjeongsik, Korean Traditional Full-Course Meal) ▶ 개요 한정식은 밥, 국, 반찬을 기본으로 하되, 계절과 지역의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요리를 정갈하게 차려내는 한국 전통 상차림입니다. 본래는 조선시대 궁중음식이나 양반가의 상차림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는 한국의 고급 정찬 요리로 발전했습니다. ▶ 기본 구성 한정식은 코스 형식 또는 한상차림 형태로 제공되며, 대체로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습니다. 구분 구성 예시 밥 흰쌀밥, 잡곡밥, 돌솥밥 등 국/탕/찌개 미역국, 된장찌개, 곰탕, 갈비탕, 전골 등 메인 요리 불고기, 갈비찜, 생선구이, 전복구이 등 반찬 나물무침, 김치, 전, 장아찌, 젓갈, 튀김 등 후식 식혜, 수정과, 계절 과일, 한과 등 ▶ 특징 정갈함과 조화 — 모든 음식은 색상, 맛, 질감이 조화를 이루며, 그릇 배치와 모양까지 신중하게 고려됩니다. 계절의 맛 — 봄에는 냉이·달래, 여름에는 오이·가지, 가을에는 버섯, 겨울에는 무·배추 등 제철 식재료를 사용합니다. 지역의 다양성 — 전라도 한정식은 반찬 수가 많고 풍성하며, 경상도는 간이 강하고 고소한 맛이 강조됩니다. 예절과 미학의 식사 — 단순한 식사가 아니라 한국인의 ‘정(情)’과 ‘예(禮)’가 담긴 식문화로 여겨집니다. ▶ 대표적인 한정식 메뉴 예시 불고기 한정식 전주비빔밥 한정식 전복죽 한정식 궁중 한정식 약선 한정식 (건강식 중심) 해산물 한정식 (제철 해물 중심)
SoloGourmet
Sangcharim
5일 전
12
백반
**백반 (Baekban)**은 한국의 대표적인 가정식 정식 형태로, 한 상 가득 밥, 국, 그리고 여러 가지 반찬이 함께 차려지는 전통 한식 정찬입니다. “백(白)”은 ‘밥’, “반(飯)”은 ‘반찬’을 뜻하며, 즉 밥과 여러 반찬이 나오는 한 상 차림을 의미합니다. ▶ 백반의 기본 구성 밥: 흰쌀밥 혹은 잡곡밥 국/찌개: 된장찌개, 김치찌개, 미역국 등 메인 반찬: 불고기, 생선구이, 제육볶음, 두부조림 등 곁반찬: 김치, 나물무침, 젓갈, 전, 장아찌, 계란말이 등 디저트/후식(일부): 식혜, 과일, 수정과 등 한상차림으로 나오며, 지역과 계절에 따라 반찬 구성이 달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 백반의 특징 균형 잡힌 영양식 –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식이섬유가 조화를 이룸 다양한 맛의 조화 – 짠맛, 단맛, 매운맛, 새콤한 맛이 한 상에서 어우러짐 계절의 맛을 담은 식사 – 봄에는 냉이·달래, 여름에는 오이·가지, 가을에는 버섯, 겨울에는 무·배추 등 계절 재료가 반찬으로 사용됨 합리적인 가격과 친근함 – 식당, 분식점, 가정식 백반집 등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어 한국인들의 일상식으로 사랑받음 ▶ 지역별 백반 특징 전라도 백반: 반찬 가짓수가 많고 간이 약하며, 깊은 맛이 특징 경상도 백반: 간이 강하고 매콤한 반찬이 많음 충청도 백반: 담백하고 전통적인 맛을 살림 강원도 백반: 산나물과 건어물 위주의 반찬 구성
SoloGourmet
Sangcharim
5일 전
20
간장게장정식
▶ 기본 구성 간장게장: 살아있는 꽃게를 깨끗이 손질한 뒤, 진간장·양파·대파·마늘·생강·고추·감초·정종·설탕 등을 넣고 달인 간장 양념에 숙성시켜 만듭니다. 2~3일간 숙성하면 게살이 간장 맛을 흡수해 감칠맛이 극대화됩니다. 신선한 꽃게를 비법 간장에 숙성시켜 깊은 감칠맛을 낸 간장게장은 한국인들이 “밥도둑”이라 부를 만큼 밥 한 공기를 순식간에 비워버리게 만드는 별미입니다. 짭조름하면서도 달큼한 간장 맛이 게살 속에 스며들어, 한입 베어 물면 입안 가득 바다의 향이 퍼집니다. 간장게장 정식은 게장뿐 아니라 따끈한 밥, 된장찌개 또는 미역국, 그리고 다양한 반찬으로 구성되어 있어 정갈하고 풍성한 한식 한상차림을 즐길 수 있습니다. 게장의 간장을 밥에 비벼 먹으면 진정한 “밥도둑”의 의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이 전통 해산물 요리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인기 있는 미식 체험 메뉴입니다. 밥: 따끈한 흰쌀밥 또는 잡곡밥과 함께 제공되며, 게장의 간장 양념을 비벼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국/찌개: 미역국, 된장찌개, 꽃게탕 등이 함께 나와 식사의 균형을 맞춥니다. 반찬: 제철 나물무침, 젓갈, 김치, 전, 구이 등 5~10가지 이상의 반찬이 곁들여집니다. 간장게장 양념장: 밥에 비벼 먹기 좋도록 별도의 양념장이 제공되기도 합니다. ▶ 맛의 특징 감칠맛과 단짠의 조화: 숙성 간장의 깊은 감칠맛과 꽃게 살의 달큰함이 어우러져 짠맛·단맛·감칠맛이 균형을 이룹니다. 입안에서 녹는 식감: 신선한 게살이 간장의 염도와 숙성 덕분에 부드럽고 촉촉한 질감을 가집니다. 밥도둑: 간장게장은 밥과 함께 먹을 때 가장 맛있다고 하여 “밥도둑”이라 불립니다. ▶ 지역별 특징 서해안 지역 (특히 전라남도 영광, 신안 등): 바닷게를 사용하며, 간장의 맛이 깊고 달큰합니다. 동해안 지역: 간이 비교적 강하고, 청량한 향의 양념을 선호합니다. 서울/수도권: 깔끔하고 간이 덜한 현대식 간장게장이 많으며, 냉장 숙성 대신 냉침 방식도 사용합니다. ▶ 영양 및 효능 꽃게는 단백질, 칼슘, 아연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어 영양가가 높습니다. 숙성 간장은 아미노산이 풍부해 소화 촉진과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다만 염분이 높으므로 고혈압 환자나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고관리자
Sangcharim
5일 전
22
검색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Guest
로그인
회원가입
TRIP
K-POP
FOOD
HANSIK(Korea Food)
Restaurant
LIFE
MEDICAL
Medical Subject
Partership
COMMUNITY